-
왕초보를 위한 Git 명령어 모음집 (2)IT 이야기 2024. 2. 16. 10:00
먼저 읽으면 좋은 글👉 왕초보를 위한 Git 명령어 모음집 1편이 글을 읽는 법Git에는 수많은 명령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발 팀에 입사한 초보 개발자가 협업하면서 겪게 될 시나리오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Git 명령어를 정리합니다:Git 최초 설정: git config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의 개념 이해하기: git init, git clone, git remote, git push, git fetch, git pull로컬 저장소의 세 가지 단계: git status, git add, git commit, git diff, git restore, git reset, git stash커밋과 브랜치의 개념 이해하기: git switch, git merge, git cherry-pick커밋 로그 ..
-
왕초보를 위한 Git 명령어 모음집 (1)IT 이야기 2024. 2. 2. 10:00
이 글을 읽는 법Git에는 수많은 명령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발 팀에 입사한 초보 개발자가 협업하면서 겪게 될 시나리오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Git 명령어를 정리합니다:Git 최초 설정: git config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의 개념 이해하기: git init, git clone, git remote, git push, git fetch, git pull로컬 저장소의 세 가지 단계: git status, git add, git commit, git diff, git restore, git reset, git stash커밋과 브랜치의 개념 이해하기: git switch, git merge, git cherry-pick커밋 로그 그래프로 원하는 커밋 검색하기: git log, git show,..
-
좋은 개발자의 6가지 특징IT 이야기 2024. 1. 5. 10:00
* 본 글은 그렙(Grepp)의 CSO 정두식 님의 글을 일부 재편집하였습니다.개발자의 역량을 평가하고 역량을 키우는데 도움을 주는 일을 하다 보니 ‘좋은 개발자’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듣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무엇이 ‘좋은 개발자'일까요? 기본적인 코딩 역량은 갖춰야 안 좋은 개발자를 탈출할 수 있다는 건 알지만, 탈출이 아닌 지향할 곳은 어디가 되어야 할까요?이런 생각을 하다 보니 아래의 축구 게임처럼 개발자에게 필요한 능력을 정의해보고 싶어 졌습니다. 필요한 요소를 정의하고, 각각의 요소에 대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살펴보면 누가 뛰어난 개발자인지 더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소 선정을 위한 인터뷰이런 능력 요소를 뽑아내기 위한 작업을 '전문성 연구'라고 부릅니다. '..
-
Git, GitHub 명령어 사용 꿀팁IT 이야기 2023. 12. 14. 10:59
본 글은 그렙(Grepp)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고 있는 조민철 님의 글을 일부 재편집하였습니다.오늘은 Git, GitHub의 명령어 사용법을 준비하였는데요. 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기르고 싶은 분들이라면 끝까지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작성자: 조민철(Grepp. 프론트엔드 개발자)편집자: Tami팀 단위로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가 버전 관리 시스템 Git입니다. Git은 add, commit, log, stash 등 버전 관리를 위한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합니다. 혹시 자주 쓰는 Git 명령어를 조합하거나 직접 수정해서 사용하고 싶은 적 없으셨나요?예를 들어, 흔히 사용하는 git pull 명령어는 git fetch && git merge와 같이 두 가지 명령..
-
온라인 A/B 테스트란 무엇일까?IT 이야기 2023. 9. 18. 11:25
*본 글은 한기용 개발자(그렙 CTO)가 작성한 내용입니다.A/B테스트가 무엇인지, 어떻게 진행하는지 궁금한 분들은 끝까지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If You Can’t Measure, You Can’t Improve it! - Peter Drucker"측정할 수 없다면 개선할 수 없다"는 경영쪽의 구루로 유명한 피터 드러커가 한 말입니다. 즉 감이 아닌 성공실패 지표를 바탕으로 개선 여부를 측정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게 AB 테스트의 기본 원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B 테스트가 다른 테스트들과 다른 특징들 중의 하나는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입니다. A/B 테스트란 무엇인가?온라인 A/B 테스트는 디지털 마케팅 및 웹/앱 개발에서 두 가지 이상의 웹 페이지 또는 앱 버전을 비교하여 특정 목..
-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실무에서 쓰는 주요 기술은?IT 이야기 2023. 8. 30. 12:00
프로그래머스에서 시니어 개발자분들과 인터뷰한 내용의 일부를 재편집한 글입니다.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생각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주요 기술'은 무엇일까요?개발자를 준비하고 있거나,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인터뷰를 끝까지 살펴보세요.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구현할 줄 알아야 할 주요 기술은 무엇일까요? 💬 김○○ 님 (Front-end Engineer)바벨에 대한 이해, 타입스크립트에 대한 지식도 필요하고, SPA 언어를 하려면 상태관리를 어떻게 하는지도 매우 중요합니다. 리덕스나 모벡스, 리코일 등도 나와서 계속 사용이 되고 있고, 익혀야 하는 로드맵도 있습니다. 이러한 변해가는 트렌드를 아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리액트도 비동기 관련 기능, 추가 기능들이 계속 릴리즈 되고 있고, 그런 변해가..
-
뛰어난 업무 성과를 내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특징IT 이야기 2023. 7. 7. 17:00
프로그래머스에서 시니어 개발자분들과 인터뷰한 내용의 일부를 재편집한 글입니다.각 분야의 전문가가 생각하는 '뛰어난 업무 성과를 내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특징'은 무엇일까요?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준비하고 있거나,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인터뷰를 끝까지 살펴보세요. 뛰어난 업무성과를 내는 개발자들의 차별점은 무엇인가요? 💬 박○○ 님 (Front-end Engineer )프론트엔드 분야는 주니어, 시니어가 가장 극명하게 갈려 있습니다. 진입장벽이 낮아 쉽게 들어올 수 있는데 반해, 회사에서 원하는 눈높이에 맞는 사람은 적습니다. 백엔드는 오래 하면서 생기는 노하우가 있지만, 프론트엔드는 시간이 지난다고 자연스럽게 성장하지 않습니다.계속 똑같은 화면만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있어요. 이런 사람들은 로우레벨 프론트..
-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갖춰야 할 핵심 역량은?IT 이야기 2023. 6. 23. 12:37
프로그래머스에서 시니어 개발자분들과 인터뷰한 내용의 일부를 재편집한 글입니다.각 분야의 전문가가 생각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은 무엇일까요?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과 실제 면접 질문도 살펴볼 수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인터뷰 내용을 끝까지 살펴보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은 무엇일까요? 💬 이○○ 님 (풀스택 개발자)프론트엔드나 백엔드를 떠나서 개발자라면 꼭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두 가지 있습니다. 개발자적 사고라고 할 수 있는데, '논리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과 '추상화 정도를 어떻게 그룹핑할 수 있는가' 이 두 가지를 가지고 있으면 좋은 개발자라고 생각합니다. 요약하면 추상화 능력과 논리 흐름을 파악하는 능력의 두 가지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Q.컴..
-
자율주행 인지 기술과 제어 기술, 어떻게 다를까요?IT 이야기 2023. 6. 15. 17:50
자율주행 기술은 운전자의 개입 없이 차량이 스스로 주행하는 능력을 갖추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자율주행 기술은 다양한 기술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주변 상황이나 객체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과 차량(로봇)을 제어하는 기술은 자율주행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본문에서는 자율주행의 핵심 기술인 인지 기술과 제어 기술의 개념과 사용하는 기술을 알아보고 실제 주행 상황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볼까요? 자율주행 인지 기술 인지 기술은 자율주행 차량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로 센서 퓨전, 컴퓨터 비전, 객체 인식 및 추적, 지도 및 위치 추정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량은 주변의 객체, 도로 상황, 교통 상황, 장애물, 보호자, 신호 등을 감지하고..
-
좋은 지표란 무엇일까?IT 이야기 2023. 6. 12. 18:37
*본 글은 한기용 개발자(그렙 CTO)의 글 일부를 재편집한 내용입니다.If you can’t measure it, you can’t improve it - 피터 드러커 좋은 지표란 무엇일까?좋은 지표란 무엇을 의미할까요? 꼭 데이터 업무가 아니라도 무슨 일을 하건, 진행 상황과 결과의 성공유무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필수입니다. 회사나 어떤 조직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결국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지표를 만들고, 그를 바탕으로 상황을 이해하고 의사결정을 하기 위함'입니다.이번 콘텐츠에서는 제가 그동안 일하면서 지표에 관련해 느낀 것들을 요약해보려 합니다. 1️⃣ 좋은 지표에 대한 기준1. 중요 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는 적을수록 좋다.지표가 너무 ..